마법사(여) 통합
L.앙팡 |
날짜 : 2017-05-27 08:32 | 조회 : 501 / 추천 : 7 |
|---|---|---|
[엘레멘탈마스터] 개편에 따른 스킬 사용감상스킬의 렙제에 따른 효율 자체는 무시 일단 찍을 수 있는 스킬의 효용성에 대한 "매우 어렴풋한" (체감적) 해석 커튼 1lv 만렙을 준다 한들 딜링으로는 핼버의 반에도 못 미치는 이미지 단, 플보볼이 사라지고 핼버도 미니가 사라지고 단타형으로 바뀐 현 상황에서는 "다단히트"스킬이 필요함 썬콜을 1레벨은 줘야하듯이 커튼도 다단히트용으로 1레벨은 주고 전방에 시전하는 (구)샤칠이라 생각하면 마음이 편함 상당히 범위가 넓기 때문에 잡몹정리용으로 쓴다고 생각하면 됨 후술할 초룬(앨번)불켜기에서 써먹는 방법도 유용함 이전의 핼버가 갖는 위치에서 데미지를 깎고 범위를 늘린 스킬로 넘어왔다는 식으로 봐도 괜찮을 듯 혹시 삐져나온 잡몹은 여기다 안 준 스포를 중급스킬에 활용하여 정리합시다 크리스탈, 퀘이크 Max lv 크리스탈과 핼버는 이번 개편에서 엘마의 순딜기로서 부각되는 스킬 신규스킬 3종을 볼게 아니라 크리스탈과 핼버를 따져서 본다면 (구)플보를 넘어서는 데미지 크리스탈-핼버-퀘이크로 사용할 경우 상당히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음 크리스탈 단일은 핼버와 엇비슷한 느낌 퀘이크는 단일 사용으로 쓰기보다는 복합용도로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을수도 예를 들어 루크 쪽의 레드 크라운 방에서 사용한다면 아크틱(빙결)-퀘이크 파티의 서브딜러로 갔을때는 몹을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잡기 위해 쓰는 경우 퀘이크 단일로 쓸수도 있겠지만 그때도 대략적으로 크리스탈-퀘이크 or 핼버-퀘이크 정도의 시간은 만들수 있을 것으로 보임 2. 무큐기 게이트, 애스트럴, 6원소를 제외한 모든 무큐기는 모속적용을 받음 때문에 초룬을 키고서 무큐기를 뭐든지 사용하면 곧바로 불 4개 점등완료 첫방에서 몹을 같이 잡을걸 생각한다면 아크틱으로, 빨리 불만 키고 무큐기의 딜링을 아껴두고 싶다면 썬콜이나 커튼으로 불을 킨다고 생각하면 될듯 (핼버는 주력 순딜이라 첫방에서 써버리긴 아까움) 플보볼이 없어진 만큼 나할의 유용성이 '아주 조금' 줄어들었음 단, 아주 조금 줄어들었다 뿐이지 몰이로서의 유용성은 건재 어쨌든 이전처럼 신경써서 모든 스킬을 몰아넣는다까지는 필요없고 내키는대로 써서 맞추면 된다라는 이미지 (은근히 편해진 점이라고 생각하는 부분) 토그에서는 예전처럼 속성에 맞는 스킬 위주로 골라쓸 필요 없이 그냥 크리스탈 핼버 게이트 이런거 내키는 만큼 날리면 됨 속성구슬을 아무거나 넣더라도 상관없다라는 말 이 부분은 심지어 다크고스라 해도 타 파티원 속성에 맞추어도 크게 지장없을 것으로 생각함 -이유는 토그가 속성구슬 먹고 떨어지는 저항이 -1500인가 그랬을 것인데 다크고스로 얻은 400정도의 속강과 타 파티원이 속저 1500으로 얻은 딜링능력을 비교해보면 됨. 물론 타 파티원 속저 1500보다 자신의 암속 400이 효율이 좋다고 생각한다면 암속으로 맞추는 게 낫겠지만 그게 아닐 경우에는 타 파티원의 속성에 맞는 구슬을 넣는 편이 이득일 수 있음 3. 중하급스킬 신규 3종 스킬을 다 찍는 것이 효율이 매우 떨어지리라 보기에 쿨타임 사이를 메워줄 중하급스킬의 존재는 필수적이리라 생각됨 어떤 것을 찍는가는 본인의 선택나름 다만, 칠팬만큼은 딜링능력도 2만퍼(TP를 합치면 커튼만렙과 엇비슷한급)를 넘어서는 수준이고 슬로우의 잔재도 스킬을 재차 사용하면 사라지는 만큼 방패역할을 포함해서 포기하기 아깝잖은가 생각 하급기는 덩어리가 커진것도 있어서 커튼과 함께 다단히트에서 써먹기도 나름 편리해진 듯 위에서 선택나름이라고 말했듯 어떤 것을 고를지는 본인의 선택에 따르리라 봄 4. 제 6원소 6원소의 경우 충전하고 이동캐스팅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전 방에서 캐스팅하고 들어가도 됨 그리고 충전으로 잡아둘 수 있는 최대시간이 늘어난 듯한 기분 예를 들어 부폰 배리어 깨질 쯤에 사용했을 때 (스킬 사용시의 무적은 유지되기 때문에 정마셋을 쓰는 본인의 경우 유용하게 사망을 피하는 방법이었음) 이전에는 배리어가 깨지고 밀려나서 바로 사용하더라도 광폭화가 끝날 무렵 충전이 자동으로 풀리곤 했는데 지금은 배리어가 깨지기 전에 사용하더라도 광폭화가 끝나고서 편하게 충전상태를 풀 수 있음 물론 이동하면 피격당하게 되겠지만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충전상태로 대기하면 부폰의 광폭화를 매우 쉽게 넘길 수 있음 본래 이전부터 있었던 사용방법이겠지만 타이밍을 잘 맞춰야했음 하지만 지금은 여유시간이 좀 더 늘어났다는 느낌 에게느 앞에서의 6원소 헛잡은 아직 실험해보지 않아서 패스 다만, 6원소 발동(타격이 들어가는) 중이라도 에게느가 눈을 크게 뜨면 데미지를 먹는 듯한 이미지가 있음 (버그인지 아닌지까지는 모르겠음-단, 이 때 눈 보고 나오는 오브젝트 비슷한거는 나오지 않음) 6원소 타점이 전방이라서 눈을 정면으로 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나름 골치아픈 부분 애스트럴을 끊을 수 있는 만큼 6원소도 맘 먹으면 끊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기도 함 아... 에게느 다단히트라든지에서도 필요하기 때문에 역시 커튼 1레벨 정도는 나름 필수라고 생각됨 (루크에서 껍질도 그렇고) 5. 종합 손이 기존거에 많이 익숙해져 있어 어색함이 아직도 가시지는 않지만 변경내용에 익숙해지면 이전 것에 비해서는 기능성이 제법 많이 편하리라 생각됨 핼버같은 경우는 쿨타임도 딜도 이전에 사용하던 것과 위치가 많이 달라져 있음 스킬들의 구성에 대해서 연구들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p.s: 여기서 본인은 루크는 일반루크까지만 가지고 쓰는 글입니다 (안톤은 레이드 포함이지만) 루크레이드 가고 싶지만 아직 못가봄 |
||
L.앙팡
0
79,219
프로필 숨기기
신고
29
84%


L.앙팡




